#{} = 파라미터가 String 형태로 들어와 자동적으로 파라미터 형태가 된다.
예를들어 #{user_id}의 user_id의 값이 abc라면 쿼리문에는 user_id='abc'의 형태가 된다.
쿼리 주입을 예방할 수 있어서 보안측면에서 좋다.
${} = 파라미터가 바로 출력된다.
해당 컬럼의 자료형에 맞추어 파라미터의 자료형이 변경된다.
쿼리 주입을 예방할 수 없어 보안측면에 불리하다. 그러므로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할때는 사용하지 않는편이 낫다.
테이블이나 컬럼명을 파라미터로 전달하고 싶을때 사용한다. #{}은 자동으로 ''가 붙어서 이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.
'개인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quest.getRequestURL().toString(); (0) | 2021.06.24 |
---|---|
MySQL 문자열 부분 가져오기 (LEFT, MID, RIGHT 함수) (0) | 2021.06.23 |
MyBatis - 데이터 가져오는 방법들 (0) | 2021.06.19 |
MySQL 외래키 걸려있을때 데이터 삭제법 (0) | 2021.06.19 |
JOIN (0) | 2021.06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