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th.random()
- Math.random() 함수는 double 형으로 0.0이상 1.0 미만 사이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.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System.out.println( Math.random() ); // 0.23279967568276427
System.out.println( Math.random() * 10 ); // 2.3279967568276427 (0.xxx... ~ 9.xxx 까지의 값 반환)
System.out.println( (int) Math.random() * 10 ); // 2 ( 0부터~9까지의 값 반환 )
System.out.println( (int) Math.random() * 10 +1 ); // 3 ( 1부터~10까지의 값 반환 )
}
랜덤함수는 기본형이 Double형이기에 (int) 로 정수화 시켜주어야한다.
그리고 1부터의 값을 뽑고 싶다면 랜덤함수는 0부터 나오기때문에 +1을 꼭 시켜주는것이다.
그럼 10개의 값이 아니라 17개 45개 30개 등의 범위 안에서 난수를 뽑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하는걸까?
아주 간단하다 그냥 *17 / *45 / *30 곱하기한 만큼의 개수만 출력될 것이다.
(널리 퍼져있는 랜덤함수 예제로 로또생성기보면 랜덤함수에 45를 곱한것을 볼 수 있다.)
'개인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@FunctionallInterface (0) | 2021.09.12 |
---|---|
자바 Synchronized란? (0) | 2021.09.12 |
스레드중 (0) | 2021.09.12 |
오늘 공부한 Spring기능 (0) | 2021.09.11 |
핸들러 어댑터 (0) | 2021.09.09 |